안녕하세요. 반려동물을 위해 공부하는 겨울 목련입니다.
저희 강아지가 건강 검진을 했습니다. 혈액검사와 기타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수의사 선생님께서 ' 크레아티닌(Creatinine) 이 기준치 보다 조금 낮네요.
신경 쓰실 정도는 아니지만요 ' 라고 했지만 이것이 무언인가 또 공부 해보았습니다.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이 여과를 제대로 하고 있는가에 대한 수치입니다.
오늘은 신장 혈액 검사 수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장은 강낭콩 모양을 한 장기로 혈액 및 노폐물을 여과하는 역할을 합니다.
노폐물이 제대로 여과 되지 않으면 체내에 존재하면서 여러가지 질병을 일으키고
신장이 망가지게 되도 완전히 그 기능이 손실 되기 까지 티가 나지 않아 신경을 써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건강 검진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장이 여과를 제대로 하고있는지 판별하는 방법은 3가지 혈청화학 검사가 있습니다.
▶ 혈청 화학 검사
1. 혈액요소질소 BUN( Blood Urea NItrogen)
요소는 체내에서 단백질이 분해 될 때 생성이 됩니다.
건강한 신장은 체내에서 생산 되는 요소의 90%이상 제거 하기 때문에 혈액의 요소질소 농도는
신장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BUN 검사는 혈액 안에 요 질소를 측정하는 검사로
단백질을 너무 많이 섭취하거나 물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을 때, 또는 간 기능이 떨어졌을 때
수치가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개 정상 범위
- 1.4mg/dl
▶고양이 정상 범위
- 14~36mg/dl
2. 크레아티닌 (Creatinine )
근육 속에 있는 크레아틴에서 생성 되는 물질인 크레아티닌의 요 중 배설은
사구체 여과체에 비례하기 때문에 혈중 농도를 신장 기능의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사구체의 여과가 잘 되고 있으면 크레아니틴의 요 배설 수치도 높아지겠습니다.
근육양의 차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개 1.4mg/dl 이상 , 고양이 1.6.mg/dl 이상 수치 일 때
신기능부전증이 있다고 봅니다.
3. SDMA(Symmetric Dimethylarginine)
위 두 개의의 혈액 검사 방법과 다르게 양쪽 신장이 75% 이상 파괴된 후에야 비로소 수치상으로 관찰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SDMA 검사는 신장 기능이 40%가량 손실 되었을때부터 발견 된다고 합니다.
14마이크로그램/dl 이상의 결과가 나타나면 신장 기능이 소실되기 시작했다는 뜻입니다.
( 이상 수치는 측정 기계에 따라 정상 범위가 다를 수 있으니 참고 )
아무래도 단백질이 주식원이다 보니 아무래도 신장에 신경 써 주는게 좋겠습니다.
수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 식이 조절을 하면 악화 속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출처 : 2018, 황태미, 개와 고양이를 위한 반려동물 영양학,p30
오늘도 모든 분들이 반려동물과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면서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려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치석 제거에 껌, 좋은 성분은 무엇일까 (0) | 2020.11.01 |
---|---|
반려동물 구강 건강 관리를 해야하는 이유 (0) | 2020.11.01 |
강아지, 고양이의 소화기관과 주의 사항 (0) | 2020.10.31 |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과 증상, 대처방안 (0) | 2020.10.30 |
강아지 좋아하는 음악 장르 레게 (0) | 2020.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