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137 반려동물 장례식 어디서 알아보면 좋을까? 최근 들어 저는 반려동물의 끝을 생각하곤 합니다. 반려동물과 함께 10년 이상 하신 분들이라면 그 끝을 상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 아기는 지금 젊은데? '라고 생각하시거나 ' 왜 벌써 그렇게 우울한 생각을 하게 하냐? ', ' 그때 가서 생각해도 되지'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조금이라도 충격을 덜하기 위해서는 마음의 준비도 미리 해놓는 게 좋죠. 펫로스 증후군은 생각보다 심각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죽음'은 예견된 일이고, 부정하기보다는 인정하고 준비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이라는 거예요. 그래서 반려동물의 장례식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전 글에서 말씀 드렸다시피 이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가 약 1500만 명을 돌파하였습니다. 이를 노린 불법 장묘업체도 기승을 부.. 2022. 3. 25. 노령견과 함께하는 견주라면 주목! -2021년 한국반려동물 보고서 #노령견 #노령견정보 #노령견케어 #노령견을위해해야할일 혹시 그거 아시나요? 반려동물의 무지개 다리를 건너기까지 주인과 함께 하는 개들은 전체의 10%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노령견이 되었을 때 아무 데나 대소변을 누고, 병이 들어 치료비를 감당하지 못해서 버리는 사람들이 있다고 해요. 우리 함께 끝까지 반려동물과 끝까지 함께하기 위해 오늘도 공부를 해봅시다. KB경영연구소에서 낸 2021년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노령견을 위한 내용이 담겨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국내 604만 가구가, 총 14480만 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가장 선호하는 견종으로는 1위는 몰티즈 2위는 푸들, 3위는 포메라니안으로 지능이 높고 똑똑.. 2022. 3. 24. 2021 동물등록 자진신고 및 집중 단속 운영, 잊지말고 신고하기! 다들 반려동물 등록을 하셨나요? "반려견 등록,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반려동물은 등록을 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과태료를 내야만 하죠. 법은 시행 됐지만 아직 신고를 아직 안하신 분들도 있기 때문에 이를 유예해주는 기간이 생겼습니다. 이 때 신고를 잘 하신다면 과태료를 물리가 없겠죠. □ 2021 동물등록 자진신고 및 집중 단속 기간 운영 (자진신고) 7.19. ~ 9.30. (집중단속) 10.01.~10.31. ○ 자진신고란? - 동물 미등록자나 변경사항 미신고자가 기간 내 신고 시 과태료 면제 ※ 동물 미등록 시 100만원 이하, 변경사항 미신고 시 50만원 이하 □ 자진신고 대상 ○ 동물등록 - 주택·준주택에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인 개 - 주택·준주택 외의 장소에서 반려 목적으로 기.. 2021. 9. 23. '코로나 집콕' 반려동물 수입이 2배 증가, 앞으로는.. 코로나가 장기화가 됨에 따라 자택 근무가 증가하고 있고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고양이와 개 수입이 2년만에 두배 늘었습니다. 인천 본부 세관에 따르면, 올해 1월 ~ 8월 항공기로 해외에서 들여온 개, 고양이 는 총 1만 241마리 (1천 615건)였습니다. 개가 7천 961마리, 고양이가 2천280마리 였습니다. 이는 코로나 이전 2019년 같은 기간 수입량 5천 222마리 (개 4천 165마리, 고양이 1천 57마리)의 약 2배 규모입니다. 지난해 20년도 같은 기간 9천 270마리(개 7천 481마리, 고양이 1천 789마리)보다도 약 10% 증가하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수입량이 증가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관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확대로 집에서 .. 2021. 9. 23. 이전 1 ··· 4 5 6 7 8 9 10 ··· 35 다음 728x90